1. 해상도 개념
윈도우에 디스플레이 영역에 들어가면 해상도가 보인다.
1920 : width
1080 : height
이 숫자 뒤에 숨어 있는 단위가 px이다.
👉🏻 가로 : 1920px, 높이 : 1080px로 출력하겠다는 의미이다.
* px : 픽셀은 조건에 따라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는 가변의 크기를 가진다.
물리적인 32인치의 모니터 크기는 동일하지만 그 안에 px를 1920px로 나열할 것인지 1280px로 나열할 것인지에 따라서
전체적인 px이 분포되는 크기가 다르다.
그래서 해상도는 모니터의 크기의 가로와 높이에 표현되는 px이 물리적으로 몇 개 들어가는지 판단한다.
2. 디바이스 구분하는 법
컴퓨터 입장에서 디바이스를 구분할 때 분기점(Breakpoints) 기준으로 한다.
Mobile | Tablet | Desktop | |
Max | 414 x 896 | 1024 x 768 | 1920 x 1080 |
375 x 667 | 834 x 1194 | 1440 x 1024 | |
... | ... | ... | |
360 x 640 | 768 x 1024 | 1280 x 720 | |
Min | 320 x 568 | 600 x 960 | 1024 x 768 |
* : Breakpoints
3. 최소 해상도를 선정해야 하는 이유
사용자의 해상도가 1024px인데 웹 사이트의 해상도가 1920px로 만들면 가로 스크롤이 생겨서 사이트 이용하기 불편하다. 웹 사이트의 해상도가 1024px 보다 작게 만들어야 사용자가 봤을 때 양쪽에 조금 여백이 생겨 보기 편하다.
👉🏻 웹 사이트의 width값이 사용자의 해상도를 빼면 나머지의 여백은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온다.
사용자의 해상도보다 작아야 된다는 전제조건이지만 해상도 1024px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없을 수 도 있다.
👉🏻 점유율 기준으로 최소 해상도로 세팅 해야 된다.
4. 최소 해상도 데이터 추출
웹 사이트에서 기존의 고객 유무에 따라서 데이터 추출하는 방식이 상이하다.
1) 신규 프로젝트
신규 프로젝트일 때는 고객 DB가 없다. 국내인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굉장히 빠른 나라에 속해있다. GDP가 낮은 나라에서는 디바이스의 보급이 빠르지 않기 때문에 구형의 디바이스를 쓸 확률이 커서 국내 사이트인지 글로벌 사이트인지에 따라 데이터 추출하는 것도 상이하다.
Statcount를 접속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해상도의 점유율 보고 데이터를 추출한다.
👉🏻 국내 신규 프로젝트 : 최소 해상도를 1280px로 세팅한다.
👉🏻 글로벌 신규 프로젝트 : 최소 해상도를 1024px로 세팅한다.
2) 리뉴얼 프로젝트
고객 DB가 있을 경우 애널리틱스를 이용한다. 애널리틱스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를 접속해서 사용자들이 어떤 행동 패턴을 하는지 볼 수 있는 분석 도구이다.
👉🏻 리뉴얼 프로젝트 : 애널리틱스의 데이터를 보고 최소 해상도를 세팅한다.
'기획 및 디자인 > UX U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{ UI GUI 디자인 } #2 - 그리드시스템 (22) | 2022.01.05 |
---|